TOP

미래성장동력

고령화 등 환경변화
세계인구 고령화 가족→웰빙과 웰에이징에 대한 욕구 증대로 인해 의약품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여 제약산업이 성장→만성질환 및 신종질병의 증가→새로운 의료기술의 출현

제약바이오산업은 인류의 생명연장과 건강유지에 필수적인 산업으로 세계적인 고령화 가속에 따른 웰빙(well-being), 웰에이징(well-aging)에 대한 수요 증가와 만성질환 및 신종질병 증가 등의 복합적인 요인으로 지속 성장할 수밖에 없는 산업입니다.

거대한 시장규모
거대한 시장규모 관련 이미지
출처 : IQVIA Market Prognosis 2019

전 세계적인 고령화와 4차 산업혁명으로 반도체(500조원)의 3배에 가까운 1,400조원 세계 제약시장은 향후에도 지속적인 성장이 예상됩니다. 미국, 중국, 유럽 등 선진국을 비롯한 세계 각국이 제약산업 육성에 국가차원의 역량을 결집하고 있는 것은 미래 성장동력을 확보하기 위한 불가피한 선택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고부가가치산업', 하이리스크-하이리턴

제약산업은 대표적인 하이리스크-하이리턴(High risk-High return) 산업입니다. 신약개발에는 10여년에 걸친 기간동안 수천억에서 많게는 조단위 투자가 이뤄져야 하고, 성공확률은 10% 미만으로 알려졌습니다.
그러나 글로벌 블록버스터 개발에 성공하면 막대한 부가가치를 창출할 수 있습니다. 세계에서 가장 많은 매출을 기록하는 미국 애브비의 자가면역질환 치료제 ‘휴미라’는 2020년 매출이 약 23조원(198억 3200만달러)에 달합니다. 국내 제약산업 전체 시장 규모와 맞먹는 수준입니다.

미국 애브비 자가면역질환 치료제 휴미라
(참고 사진) 미국 애브비 자가면역질환 치료제 휴미라 – 출처 : AbbVie
고부가가치 제약산업, 하이리스크-하이리턴 관련 이미지
제약산업의 고용 창출 역량

전 세계 제약 분야 종사자 수는 약 440만명으로 추정(독일 다름슈타트 경제조사연구소, 2015)되며, 인구 고령화와 4차 산업혁명으로 인한 첨단산업의 융복합을 통해 고용인원은 꾸준히 증가할 전망입니다.

“제약산업의 10조원 매출이
13만개의 관련 일자리창출할 수 있다.”

미국Battelle 연구소, 2012년

미국의 생명과학 산업은 77,000개 사업체에 걸쳐 166만개 고용을 창출(2014년)

$95,000의 높은 평균 임금(민간 평균 임금보다 85% 높음, 2001년 이후 급속 성장) 국내의 경우 기계(-3.9%), 조선(-2.6%), 철간(-2.2%) 등 주력산업이 고용을 축소했을 때, 제약산업은 확대(+3.7%, 2015년)

제약산업의 고용 창출 관련 이미지
정부의 제약바이오산업 육성 의지
좌우로 움직여보세요
시기 내용
2017. 7 100대 국정과제에 미래형 신산업으로 제약산업 포함
‘ 고부가가치 창출 미래형 신산업 발굴・육성 위해 핵심기술 개발, 인력양성, 사업화 및 해외진출 지원 등으로 제약 ・바이오・마이크로의료로봇 등 의료기기 산업 성장 생태계 구축
2018. 8 3대 전략투자, 8대 선도산업 제약바이오산업 포함
정부가 혁신성장을 이끌어갈 선도사업에 ‘제약바이오’를 추가, 혁신성장 8대 선도사업은 다음과 같음 △자율주행, 친환경자동차 △바이오헬스 △스마트팜 △드론 △스마트공장 △핀테크 △에너지 신산업 △스마트시티
2019. 5 3대 중점육성산업 선정(바이오헬스산업 혁신전략)
청와대는 비메모리 반도체・바이오・미래형 자동차 등 3대 분야를 ‘중점육성 산업’으로 선정하고 정부의 역량을 집중하겠다고 밝힘. 국가 미래 성장 산업에 의약품인 ‘바이오’가 이름을 올린 것.
2020. 7 정부, 바이오헬스 산업 육성에 10년간 2조8000억 투자
신약 개발과 재생의료 분야에 기초 연구부터 치료제 개발까지 전주기 연구개발 지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