협회소개
설립목적
본 연구원은 제약기업의 AI기반 신약개발 및 디지털 혁신 생태계 조성을 위하여 설립되었으며, 단일 기관이 추진하기 어려운 디지털 융합 연구를 공동으로 기획하고 수행하는 연구허브역할을 수행하고자 합니다
설립 배경

주요 연혁

주요 기능

LINKER (연구개발허브기능) |
AI기반 신약개발 과제 기획 및 추진 허브 기능 수행 국내외 기업 간 AI기반 신약개발 협력사업 추진 |
Education (AI교육·기술지원기능) |
융합교육 플랫폼 LAIDD 기반 AI신약개발 인재 양성 제약기업의 AI기술 도입 및 AI기업 매칭 지원 |
Accelerator (정책연구 및 네트워킹) |
AI Pharma Korea 컨퍼런스, AI 신약개발 경진대회, 포럼 등 운영 바이오 빅데이터 기반 신약개발 등 신약개발 정책연구 수행 |
Digital Transform (디지털전환 지원) |
제약·바이오 기업의 디지털 전환 및 데이터 활용 및 가공 지원 AI 기반 제조공정 및 품질관리 효율화 지원 |
주요 성과
2020
공동 연구 협력 모델 생성을 위한 네트워크 구축
2021
Proof-of-Concept 프로젝트 성과를 위한 인공지능 기술지원 및 실습교육 지원
2022
제약 · 바이오 기업 내 자체 인공지능 활용 신약개발 연구 인력 생성을 위한 교육 플랫폼 구축
2023
K-멜로디 프로젝트 등 국내 협력 연구 활성화를 정책 연구 지속 수행 및 네트워크 활성화
설문 · 자체조사를 통한 AI 신약개발 산업계의 현황 및 수요 기반의 지원업무 수행
시행 부처기관 | 과제명 | 기간 | 참여기관 및 수행내용 |
---|---|---|---|
보건복지부 |
인공지능활용 신약개발 교육홍보사업 |
2021.04 ~ 2023.11 |
· 인공지능 활용 신약개발 온라인 교육 플랫폼LAIDD구축 · 프로젝트 교육을 통한 현장형 실무인력 지속 배출 |
보건복지부 | 국내 AI 신약 데이터 공유 활성화 방안 마련을 위한 기획 연구 | 2022.04 ~ 2023.03 | · 연합학습 기반 AI 신약개발 플랫폼 실현가능성 검토 · 국내 신약개발분야 데이터 공유를 위한 해결방안 분석 |
보건복지부 | K-데이터 기반 신약개발 가속화 프로젝트 기획연구 | 2021.06 ~ 2021.11 | · 연합학습을 활용한 AI신약개발 플랫폼 제안 · 국내외 신약개발분야 AI활용 분야 검토 |
질병관리청 |
혁신형 바이오뱅킹 컨소시엄 사업 |
2021.03 ~ 2021.12 |
· 국립암센터,성비넨트병원,삼성서울병원,셀레믹스참여 · 인공지능 기반 바이오뱅크 데이터 활용 방안 설계및 구축 |
보건복지부 | 인공지능활용 신약개발 교육홍보사업 | 2021.08 ~ 2021.11 | · 제약 바이오 및 IT가옵 종사자 대상교육 · 프로젝트 수행:대웅제약, 보령제약, 일동제약, 한미약품, HK이노엔 |
보건복지부 | 신 변종 바이러스 대응을 위한 인공지능 활용 신약 개발 체계연구 | 2020.08 ~ 2021.05 | · 분자생성, DTL 예측 등 약물 후보물질 발굴 파이프라인 개발 |
과학기술정보통신 | 인공지능 신약개발 플랫폼 구축사업을 위한 성과 홍보 및 네트워크 구축 | 2021.08 ~ 2021.11 | · 컨퍼런스 개최 : 총 205명 참여 |
조직도

직무 | 성명 | 전화번호 |
---|---|---|
센터장 | 김우연 | 02-6301-2180 |
부센터장 | 장우순 | 02-6301-2130 |
책임연구원 | 황재성 | 02-6301-2184 |
운영팀장 | 최아연 | 02-6301-2181 |
선임연구원 | 신정민 | 02-6301-2188 |
선임연구원 | 홍성은 | 02-6301-2183 |
선임연구원 | 정소이 | 02-6301-2187 |
연구원 | 김관헌 | 02-6301-218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