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털·도서 정보관
- 1국내
- 2콜롬비아
- 3한국 ai
- 4내성
- 5판촉
최신자료
-
2023 한국한의약연감도서
2023 한국한의약연감
2023 한국한의약연감(바로가기)
2025한국어 | 소장자료
2025/08/27 -
2025년 식품의약품 안전백서도서
2025년 식품의약품 안전백서
2025년 식품의약품 안전백서(바로가기)
2025 | 식품의약품안전처 | 한국어 | 온라인자료
2025/08/27 -
[발표자료] 제 6차 한-일 의약품 공동 심포지엄 발표자료동향 및 이슈 세미나 자료
[발표자료] 제 6차 한-일 의약품 공동 심포지엄 발표자료
2025. 7. 17.(목)에 진행된 '제 6차 한-일 의약품 공동 심포지엄' 발표자료 입니다. * 자료의 가공 및 편집은 불가하며, 외부 인용시 반드시 출처를 명시 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2025/08/12 -
[KPBMA FOCUS 제31호] 의약품 특허권 존속기간 연장제도의 개정 外동향 및 이슈 KPBMA FOCUS
[KPBMA FOCUS 제31호] 의약품 특허권 존속기간 연장제도의 개정 外
□ 의약품 특허권 존속기간 연장제도의 개정 (김지희 변호사 著) 1. 들어가며 - 특허법 '허가등에 따른 특허권의 존속기간 연장' 개정 제도가 2025년 7월 22일 시행 - 기존 한국은 품목허가 의약품과 관련된 여러 특허를 동시에 연장할 수 있고, 특허권 연장 상한이 없음 - 반면 미국, 유럽, 중국 등은 연장된 특허권의 상한이 있으며, 하나의 특허만 선택 가능 - 외국계 제약사의 신약특허 비율이 높아, 연장 제한 시 제네릭 출시가 빨라질 수 있어 국민 건강과 보험 재정 영향 기대 2. 의약품 특허권 존속기간 연장제도 - 개정 후 · 특허권 존속기간이 의약품 허가일로부터 14년을 초과할 수 없음(특허법 제89조 제1항 단서) · 하나의 허가에 대해 연장 가능한 특허 수를 하나로 제한(특허법 제90조 제7항 신설) 3. 제도 개정에 따른 영향 - 국내 특허권 존속기간 연장등록출원 현황(1999
정책본부 연구팀
2025/07/29 -
AHFS Drug Information도서
AHFS Drug Information
AHFS Drug Information
2025 | American Society of Health System Pharmacists. | 영어 | 소장자료
2025/07/25
인기자료
-
2025년에도 주목받는 AI · CDMO
시장동향 | 2024/12/23 -
국내·외 비만 치료제 개발 동향
시장동향 | 2024/07/29 -
KPBMA Brief 28호
KPBMA Brief | 2025/05/20 -
[JPM2025] 제약바이오 트렌드
시장동향 | 2025/01/24 -
[KPBMA FOCUS 제25호] 디지털 제약회사가 만드는 디지털 신약(디지털 치료제의 현황과 전망) 外
KPBMA FOCUS | 2025/03/14 -
美 트럼프 2기 정책에 따른 국내 제약산업 전망
시장동향 | 2025/03/06 -
[KPBMA FOCUS 제27호] 의료데이터 활용에 관한 법·제도 현황 및 이슈 外
KPBMA FOCUS | 2025/04/21 -
[KPBMA FOCUS 제15호] 기술패권 시대, 주요국 정부 제약바이오 R&D 현황 분석 外
KPBMA FOCUS | 2024/06/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