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털·도서 정보관

통합 정보 시스템

글로벌 바이오헬스산업 동향 Vol.550(2025.06.02)
제목 글로벌 바이오헬스산업 동향 Vol.550(2025.06.02)
작성일 2025-06-04 09:19:12
원문보기 바로가기
첨부파일 다운로드
     

글로벌 바이오헬스산업 동향 Vol.550(2025.06.02)
- Global Bio-Health Industry Trend
◈ FOCUS
 - 무역갈등 시대의 헬스케어 CMO/CDMO 전략: 공급망 재편 분석
◈ 무역통상
 - EU, 미국과 관세협상을 위해 유럽 기업 투자계획 확보
 - 미국 무역정책, 캐나다 제조업과 의약품 공급에 큰 타격
 - 무역 긴장이 불러온 유럽 항만 적체, 6월 운임 인상 예고
 - 아일랜드 부총리, 미 상무장관에 의약품·반도체 관세 부과 우려 전달
 - 트럼프, 미 항소 법원에 관세 금지에 대한 항소 제기 및 승인
 - 스위스, 미 관세에도 경제 성장 둔화 예상되지 않는다고 발표
 - 스위스-아일랜드, 제약 산업 관세 관련 회담 예정
 - 트럼프의 유럽산 의료기기 관세, 미국 병원 비용·치료 지연 우려
 - 트럼프 관세에 가장 취약한 EU의 주요 수출품: 의약품 및 제약품
◈ 디지털헬스케어
 - AI 메디컬 서비스, 세계 최초 AI 위암 진단 내시경 시스템 출시
 - 스턴 케슬러 법률 전문가, AI 의료기기 특허를 위한 예측형 전략의 필요성 강조
 - 중국 칭화대, 42명 AI 의사의 실시간 진료가 가능한 에이전트 병원 공개
 - 히포크라틱 AI-유칼리아, 협력을 통한 일본 최초의 AI 헬스케어 에이전트 출시
 - 일본, 의료 AI 활용 확대 위해 개인정보 규제 완화 추진
 - 영국 NHS, 5,700만 명 환자 데이터 기반 국가 규모 AI 모델 공개
 - 오라클 헬스, 캐나다 전역에 클리닉 AI 에이전트 도입으로 의료진 업무 간소화
 - 블랙북 리서치, 영국 등 7개국의 전자건강기록 시장 성장세 분석
◈ 제약·의료기기·화장품
 - 인도 보건부, QR 코드 의약품 추적 서비스 도입
 - 미국 바이오텍 기업들, FDA 혼란으로 초기 임상시험 해외 이전 계획 중
 - 의료기기 제조업체들 FDA 부작용 보고 의무 상당수 지연, 의료기기 안전 위험
 - 중국 상하이-신장 지역 간 5G 원격 로봇 수술의 성공적 시연
 - 나가사키 대학병원, 휴고 수술 로봇 도입으로 젊은 외과의사 교육 및 확보 전략 실시
 - 미국-유럽, FDA와 EU의 의료기기 가속 승인제도 비교분석
 - 2025 미국 의료산업의 전망: 고령화·기술혁신 맞물린 성장과 규제 강화
 - 글로벌 의료기기 금융 시장: 2029년까지 2,600억 달러 성장 전망
◈ 의료서비스
 - 태국 아로카고, 글로벌 의료관광 홍보 플랫폼 16위 선정
 - 중국 스타트업 신이AI, 세계 최초 AI 진료 클리닉을 사우디아라비아에 개설
 - 영국-인도, FTA·원탁회의 등 다채널 협력으로 인도 MTV 혁신
 - 사우디아라비아, 2030년까지 의료관광 시장 3배 성장으로 중동 의료여행 허브로 부상
 - 발리국제병원 시범 운영 시작, 인도네시아 의료관광 중심지로 본격 출발
 - 미국 의료관세 여파로 인해 해외 의료관광 수요 급증
 - UAE, 예멘 아덴에 병원 설립 협약 체결로 의료 인프라 지원 확대
 - 아부다비 공중보건센터, 길리어드 사이언스와 감염병 대응 협력 위한 양해각서 체결
◈ 글로벌 행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