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털·도서 정보관
- 1제네릭
- 2팔로델
- 3data integrity
- 4바이오
- 5Stabilizer
최신자료
-
[이슈 체크] WHO, GLP-1 당뇨병 치료제‘필수의약품 목록’ 추가동향 및 이슈 KPBMA FOCUS
[이슈 체크] WHO, GLP-1 당뇨병 치료제‘필수의약품 목록’ 추가
세계보건기구 (WHO) 는 9 월 5 일 , 당뇨병 및 비만 치료에 사용되는 GLP-1 수용체 작용제 4 종과 일부 항암제를 포함한 총 30 개의 신약을 ‘ 필수의약품 목록 (EML)’ 및 ‘ 아동용 필수의약품 목록 (EMLc)’ 에 추가 ☐ 주요 내용 ○ 필수의약품 정의 및 기준 ○ 24 th 필수의약품목록에 GLP-1 계열 주요 성분 추가 ○ 24 th 필수의약품목록에 고가 Merck 면역관문억제제 등도 포함
정책본부 연구팀
2025/09/10 -
2023 한국한의약연감도서
2023 한국한의약연감
2023 한국한의약연감(바로가기)
2025한국어 | 소장자료
2025/08/27 -
2025년 식품의약품 안전백서도서
2025년 식품의약품 안전백서
2025년 식품의약품 안전백서(바로가기)
2025 | 식품의약품안전처 | 한국어 | 온라인자료
2025/08/27 -
[발표자료] 제 6차 한-일 의약품 공동 심포지엄 발표자료동향 및 이슈 세미나 자료
[발표자료] 제 6차 한-일 의약품 공동 심포지엄 발표자료
2025. 7. 17.(목)에 진행된 '제 6차 한-일 의약품 공동 심포지엄' 발표자료 입니다. * 자료의 가공 및 편집은 불가하며, 외부 인용시 반드시 출처를 명시 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2025/08/12 -
[KPBMA FOCUS 제31호] 의약품 특허권 존속기간 연장제도의 개정 外동향 및 이슈 KPBMA FOCUS
[KPBMA FOCUS 제31호] 의약품 특허권 존속기간 연장제도의 개정 外
□ 의약품 특허권 존속기간 연장제도의 개정 (김지희 변호사 著) 1. 들어가며 - 특허법 '허가등에 따른 특허권의 존속기간 연장' 개정 제도가 2025년 7월 22일 시행 - 기존 한국은 품목허가 의약품과 관련된 여러 특허를 동시에 연장할 수 있고, 특허권 연장 상한이 없음 - 반면 미국, 유럽, 중국 등은 연장된 특허권의 상한이 있으며, 하나의 특허만 선택 가능 - 외국계 제약사의 신약특허 비율이 높아, 연장 제한 시 제네릭 출시가 빨라질 수 있어 국민 건강과 보험 재정 영향 기대 2. 의약품 특허권 존속기간 연장제도 - 개정 후 · 특허권 존속기간이 의약품 허가일로부터 14년을 초과할 수 없음(특허법 제89조 제1항 단서) · 하나의 허가에 대해 연장 가능한 특허 수를 하나로 제한(특허법 제90조 제7항 신설) 3. 제도 개정에 따른 영향 - 국내 특허권 존속기간 연장등록출원 현황(1999
정책본부 연구팀
2025/07/29
인기자료
-
2025년에도 주목받는 AI · CDMO
시장동향 | 2024/12/23 -
국내·외 비만 치료제 개발 동향
시장동향 | 2024/07/29 -
KPBMA Brief 28호
KPBMA Brief | 2025/05/20 -
[KPBMA FOCUS 제25호] 디지털 제약회사가 만드는 디지털 신약(디지털 치료제의 현황과 전망) 外
KPBMA FOCUS | 2025/03/14 -
[JPM2025] 제약바이오 트렌드
시장동향 | 2025/01/24 -
美 트럼프 2기 정책에 따른 국내 제약산업 전망
시장동향 | 2025/03/06 -
일본 의약품 시장동향
시장동향 | 2024/08/13 -
[KPBMA FOCUS 제24호] 첨단 자율화 연구시스템과 AI 신약개발 外
KPBMA FOCUS | 2025/02/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