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룸
일반약 생산 감소세 지속, 23%로 비중 축소 | |||
작성자 | kpma | 출처 | |
---|---|---|---|
등록일 | 2008/06/24 | ||
첨부파일 | |||
= 중추신경용약, 간장질환용약, 백신류 늘고, 제산제 줄어 = 2007년 약효군별 생산실적 및 일반약:전문약 비중 - 일반의약품의 생산 감소 현상이 지난해에도 지속됐다. 2007년 일반의약품 생산실적은 마이너스 0.44%를 기록한 반면 전문의약품은 12.90% 성장했다. 이에따라 2000년 40:60 이었던 일반의약품과 전문의약품의 생산비중이 2007년에는 23:77로 바뀌었다. - 1000억 원대 이상의 약효군별 생산실적을 살펴보면, 119번 기타의 중추신경용약(74.93%), 391번 간장질환용제(71.77%), 631번 백신류의 생산실적이 대폭 증가했다. 반면 234번 제산제(-13.37%)의 생산실적이 가장 큰 폭으로 감소했다. - 생산액 상위 5대 약효군의 순위는 2006년과 변동이 없었다. 1위는 항생제 약효군에 속한 '주로 그람양성 음성균에 작용하는것'(1,18% 감소한 1조 674억원)이 차지했고 해열진통소염제(5.85% 증가한 7918억원), 기타의순환계용약(1.79% 감소한 7252억원), 혈압강하제(0.99% 감소한 6581억원), 소화성궤양용제(26.41% 증가한 5840억원)가 그 뒤를 이었다. - 전체 약효군 중 뚜렷하게 생산증가 현상을 보인 약효군은 112번 최면진정제(544.26% 증가한 79억원), 235번 최토제 진토제(105.20% 증가한 219억원) 등이었다. * 첨부 : 약효군별 생산실적표 |
|||
이전글 | 김정수 제약협회 회장, KDI 현정택 원장 방문 | ||
다음글 | “기업 활동이 자유로워야 건강한 사회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