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연구설비 공동이용, 기업간 연구 컨소시엄, 연구인력 재교육 장으로
= 강창률 교수, '바이오 신약개발 전략과 효율적 협력방안' 조찬강연서

국내 제약산업이 신약개발 한계를 극복하려면 '바이오 신약개발 지원센터' 설립을 통해 기술 및 설비 인프라 공동 이용, 기업간 연구 컨소시엄 구성 등을 시급히 모색해야 한다는 주장이 설득력 있게 제기됐다.

제약협회(회장 김정수)가 6일 오전 7시 30분 팔레스호텔에서 주최한 '바이오 신약개발 전략과 효율적 협력방안' 조찬강연회에서 강창률 서울대 교수는 R&D투자 재원과 우수 연구인력의 절대 부족, 대학 및 벤처회사로부터 제공되는 아이디어와 후보물질 부족을 제약산업 신약개발의 한계로 지적하고 이같이 밝혔다.

'바이오 신약개발 지원센터'를 통해 제약기업이 기술과 설비 인프라를 공동이용하고, 기업간 공동 연구 컨소시엄 및 산학 공동 연구의 장으로 활용하게 되면 R&D 투자재원 확보, 기존 연구인력의 재교육, 중복투자 방지 및 위험도 분산의 효과를 거둘 수 있다는 것이다.

강창률 교수는 신약개발의 새로운 패러다임으로 후보물질 도출기간이 1∼2년으로 대폭 단축되었으나 프로테오믹스, 생물정보학, 초고속 스크리닝 및 콤비켐, 약물설계, 실험동물 등을 포함하는 많은 설비투자가 요구된다며 정부도 공동인프라 구축을 적극 지원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강창률 교수는 특히 미국정부가 제약산업의 세계경쟁력을 확보를 위해 약가조정을 포기한 사례와 대학·연구원, 바이오 벤처, 제약기업이 역할을 분담하는 미국의 신약개발 시스템을 예로 들며 정부 정책 및 신약개발 인프라 구축의 중요성을 피력했다.

강창률 교수는 또 제약기업이 연구 조직의 별도 운영관리를 통해 효율을 극대화하고 외부자원 및 정부지원을 최대한 활용할 필요가 있으며 R&D부분 기업 합병 또는 공동프로젝트 수행도 적극 검토해야 한다고 지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