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룸
약가 자유가격제 국가서 제약산업 빨리 성장 | |||
작성자 | kpma | 출처 | |
---|---|---|---|
등록일 | 2005/06/24 | ||
첨부파일 | |||
= 제약협회, ‘외국의 의약품 가격정책’ 토론회 = 전직원 산업정책 이해력 증진 대외서비스 강화 한국제약협회(회장 김정수)는 22일(수) 오전 8시 협회 회의실에서 임직원 대상으로 ‘외국의 의약품 가격정책’ 토론회를 열고 통제보다는 자유가격제를 지향하는 국가일수록 제약산업이 빠르게 성장한다는 점을 재확인했다. 주제발표를 한 업무부 김용정 과장은 선진 7개국 등 13개국의 주요 약가정책을 소개하고 “미국 제약산업이 유럽의 제약강국을 극복하고 세계 제약시장을 리드하는 데에는 시장 메커니즘에 따라 약가가 결정되는 자율약가제도가 큰 힘이 됐을 것”이라고 분석했다. 스위스 정부도 획기적 신약에 대해 개발보상비 차원에서 약가에 인센티브를 부여하여 신약개발 의욕을 고취시키고 있다고 전했다. 토론회에 참석한 제약협회 임직원들은 국내에서 일부 거론되고 있는 보험의약품 포지티브 리스트 등재방식에 대해서도 논의하고 이와 유사한 것으로 특정의약품에 대해서만 보험급여를 상환해주는 영국의 선택약가표제가 있지만 이는 의사들의 의약품 사용 통제전략으로 볼 수 있다며 투약의 질 향상에 의문을 제기했다. 이와함께 각 나라마다 보건의료체계와 환경이 다르기 때문에 아무리 그럴듯한 외국의 약가정책이라도 이를 우리나라에 적용하려면 충분한 사전 검토와 보건의료계의 합의가 전제되어야 한다고 결론지었다. 제약협회는 앞으로도 토론회를 자주 열고 산업정책 전반에 대한 전직원의 이해도를 증진시켜 회원제약기업에 제공하는 서비스의 질과 대외 설득력을 높여 나가겠다고 밝혔다. 제약협회는 27일 기획정보실 김정호 차장의 주제발표를 토대로 ‘국내 제약산업의 발전방향’ 토론회를 갖는다. |
|||
이전글 | 한-일 제약협회 임상시험자료 상호인증 추진 | ||
다음글 | 보령그룹, 사회공헌기업대상 수상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