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룸
제약산업 발전방안 세미나 개회사 | |||
작성자 | 홍보실 | 출처 | |
---|---|---|---|
등록일 | 2004/06/24 | ||
첨부파일 | |||
<개 회 사> 먼저 우리나라 제약산업 발전을 위한 뜻깊은 세미나를 마련해주신 전경련 강신호 회장님께 감사드립니다. 그리고 과학기술위원회 허영섭 위원장님과 수고해주신 관련 임직원들께 진심으로 감사드립니다. 국민소득 2만달러 달성을 목표로 차세대 성장 동력 10대산업이 선정되고, 정부의 추진계획이 나오고 있는 가운데 바이오산업에 관심이 많은 여러분들을 모시고 우리나라 경제계를 대표하는 전경련과 함께 세미나를 개최하게된 것은 제약산업발전을 위해 아주 의미 있는 일이라고 생각합니다. 우리 업계로서는 오늘 발표 내용 중에서 차세대 성장 동력으로 바이오신약을 육성하기 위한 자세한 추진 방향과 제품화를 앞당기기 위한 추진현황을 각각 정부 당국에서 발표할 예정이어서 기대가 큽니다. 정부지원에 힘을 얻은 우리 업계도 연구개발 역량을 강화하기 위해 제품의 전문화를 추구하고, 업체간 과당경쟁을 자제함으로써 이익구조를 개선하고, M&A를 통해 기업의 규모를 키우려고 노력중입니다. 아직은 다국적 제약사들에 비해 기업 규모가 작아서 혁신적 신약개발에 한계를 느끼고 있으며, 우선적으로 세계적인 석학들의 조언에 따라 개량신약의 개발로 해마다 천억원 이상의 결실을 맺는 전략을 우선 택하고 있습니다. 신약개발은 풍부한 자금, 우수한 인력, 광범위한 인프라가 구축돼야 하기 때문에 정부는 인프라 구축 및 금융 ·세제 등 정책적 지원책을 펴야하고, 교육계는 우수한 전문 인력을 지속적으로 배출·공급해야 하며, 연구소는 상호 공동연구를 통해 성과를 도출하는 등 범국가적 협력이 필요합니다. 오늘 세미나에서도 상호협력이라는 정신에서 제약업계 전문가들이 바이오신약 개발의 길잡이역할을 하는 '제약 산업 기술 로드맵'을 공동 집필하여 배포하게 되어 매우 바람직한 성과로 생각하면서 그 노고를 치하하는 바입니다. 이번 세미나에 참석한 정부, 의·약계, 연구소를 비롯한 대기업 관계자들께서 장기간의 연구개발 투자가 필요한 제약 산업의 특성과 애로에 대해 이해하시고, 신약개발에 대한 관심과 열정을 갖게 되는 뜻깊은 시간이 되기를 바랍니다. 다시 한번 귀한 시간을 마련해 주신 전경련 임직원들과 이 자리에 참석하여 주신 주제발표자, 토론자, 참석자 여러분께 제약업계를 대표해 진심으로감사 드립니다. 2004. 6. 17 한국제약협회 회장 김 정 수 |
|||
이전글 | 양봉민 교수 초청 제약업계 CEO대상 조찬강연회 인사말 | ||
다음글 | [기고] 제약산업 성장비결은 혁신신약개발에 달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