협회 인공지능신약개발지원센터 추진단 출범
 

- 5일 개소식 겸 이동호 단장 기자간담회 개최 -
- 7일 한국형 AI 기반 신약개발 방안 모색 세미나 개최 -
 
한국제약바이오협회 인공지능신약개발지원센터 추진단(이하 추진단, 단장 이동호)이 출범한다.
 
추진단은 오는 3월 5일 오후 3시 협회 2층에서 개소식 겸 기자간담회를 갖는다. 추진단은 지난해 이동호 전 범부처신약개발사업단장을 추진단장으로 선임한데 이어 최근 사무실과 연구인력을 확보, 이날 개소식을 기점으로 공식적으로 활동을 시작한다.
 
개소식 직후 열리는 기자간담회에서는 추진단의 올 한해 사업계획과 활동에 대해 설명하는 시간을 갖는다.
 
이와 더불어 한국제약바이오협회(갈원일 회장 직무대행)와 성균관대학교 산학협력단(연구책임자 이희상 교수)은 오는 3월 7일 오후 2시, 협회 4층 강당에서 ‘신약개발의 새로운 패러다임, 인공지능’이라는 주제로 세미나<하단 프로그램 참조>를 개최한다.
 
인공지능(AI) 기반의 신약개발 정보를 공유하기 위해 마련된 이번 세미나에서 협회는 AI개발사와 규제기관, 임상현장 등 민·관·학계의 의견을 두루 수렴하고, 한국형 인공지능 기반 신약개발 방안에 대해 다각도로 논의할 예정이다.
 
이날 세미나는 양성일 보건복지부 국장과 이희상 성균관대 교수의 인사말을 시작으로 △빅데이터/인공지능 기반 신약개발 플랫폼 구축 사업(박장환 한국연구재단 박사) △신약개발 패러다임 변화 : 가설기반에서 인공지능 기반으로(주철휘 세종대 교수) △AI 신약개발의 가능성 및 미래전망(김태순 신테카바이오 대표) △제약업체에서 보는 AI 기반 신약개발 혁신(김재영 대웅제약 박사) 등의 주제발표가 이어진다.
 
또한 ‘앞으로 3년 – AI 기반 신약개발을 위해 우리는 무엇을 해야 할까?’라는 주제를 놓고 연자들 외에 박민수 교수(연세의료원), 홍용래 상무(크리스탈지노믹스) 등 6인이 패널 토의를 진행한다.

협회 관계자는 “국내 제약기업이 글로벌 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신약개발 과정에서 인공지능 활용이 필수적으로 요구된다”면서 “이번 세미나에서는 제약기업은 물론 바이오벤처를 포함하는 산업계를 비롯해 학계, 연구기관, 의료계 관계자들을 초빙해 실질적인 정보공유의 장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사전신청은 한국제약바이오협회 홈페이지(www.kpbma.or.kr ⟶신청&서비스⟶세미나/교육)에서 받고 있으며 참가비는 무료이다. 행사 문의는 협회 의약품정책실(02-6301-2157, heeju1129@kpbma.or.kr)로 하면 된다. <끝>

 
『신약개발의 새로운 패러다임, 인공지능!』 세미나 프로그램
 
 
시간  
내용
 
비고
13:30 - 14:00 등록 
14:00 - 14:10 인사말씀 양성일 국장 (보건복지부)
이희상 교수 (성균관대학교)
14:10 - 14:40 빅데이터/인공지능 기반 신약개발 플랫폼 구축 사업
(Perspective on Government-initiated AI Pharma R&D Project Plan)
박장환 박사 (한국연구재단)
14:40 - 15:25 신약개발 패러다임 변화: 가설기반에서 인공지능 기반으로 (Pharma R&D paradigm change: From Hyphothesis to Data driven Artificial Intelligence based) 주철휘 교수 (세종대학교)
15:25 - 15:40 휴식
15:40 - 16:20 AI 신약개발의 가능성 및 미래전망
(Real life case studies of how AI is being applied today)
김태순 대표 (신테카바이오)
16:20 - 17:00 제약업체에서 보는 AI 기반 신약개발 혁신
(AI Pharma R&D Transformation from the perspective of Pharmaceutical Company)
김재영 박사 (대웅제약)
17:00 - 17:40 패널 토의
앞으로 3년 - AI 기반 신약개발을 위해 우리는 무엇을 해야 할까? (정부, AI교수, AI 개발자, 제약기업, 임상의 입장에서)
(Pannel Discussion: 3 year from now - What are we supposed to do for AI Pharma R&D)
 
좌장 : 이희상 교수 (성균관대학교)
패널 : 박장환 박사 (한국연구재단)
주철휘 교수 (세종대학교)
김태순 대표 (신테카바이오)
김재영 박사 (대웅제약)
박민수 교수 (연세의료원)
홍용래 상무 (크리스탈지노믹스)
17:45 종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