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제약협회(회장 김정수), 한국보건산업진흥원(원장 이경호), 그리고 스코틀랜드국제개발청(한국대표 장헌상)이 공동으로 한국-스코틀랜드 바이오 산업 및 기술에 대한 정보교류를 통해 양국 산업, 기업, 대학간의 교류협력 기회를 확대하기 위한 “한국-스코틀랜드 바이오산업 국제심포지엄” 행사가 지난 30일(화), 서울 그랜드 인터콘티넨탈 호텔에서 개최됐다.

이날 심포지엄에서 한국제약협회 김정수 회장은
“바이오 강국 스코틀랜드는 우리가 모범으로 삼을 연구개발 시스템과 풍부한 경험을 갖고 있다”며 “이번 심포지엄을 통해 한국 바이오산업을 이끌어갈 핵심선도기술이 무엇인지를 모색하고 국제경쟁이 가능한 분야를 찾아내는 귀중한 시간이 되기를 바란다”라고 말했다.

한국보건산업진흥원 이경호 원장은
“스코틀랜드와 한국간은 지난 97년부터 방문단 상호방문 등 바이오산업 분야 교류를 이어왔다”며 “향후 이 행사가 양국간의 기술협력 뿐만 아니라 국내 바이오산업의 세계화를 위한 초석이 되었으면 한다” 라고 말했다.

스코틀랜드국제개발청 장헌상 대표는 “스코틀랜드는 생명과학 분야에서 세계 최고의 기술 및 연구환경을 갖고 있기 때문에 스코틀랜드와 공동 연구 프로젝트 진행 시 프로젝트 성공률이 타 국가에 비해 월등 우수하다”며 “한국기업의 경우 스코틀랜드와 공동 연구 프로젝트 진행 시 스코틀랜드의 세계적인 수준의 기술 및 연구환경을 통해 한국 기업들은 적은 규모의 투자로 최고의 성과를 낼 수 있는 기회를 가질 것이다”고 말했다

복제양 돌리, p53 암 억제 유전자, 항생제 페니실린을 탄생시킨 스코틀랜드의 바이오 연구기술진이 방한, 스코틀랜드의 세계적인 바이오 기술을 한국에 소개하고 기술협력에 대한 상담 시간도 마련됐다.

이번 심포지엄에서는
“생명과학 기술동향 및 이슈 소개”,
“생명과학의 새로운 도전”,
“생명과학 기술개발을 위한 국제협력”,
“생명과학 기술의 최근 혁신사례” 등 4개의 세션을 통해 세계적인 바이오 기술 및 다양한 협력방안에 대한 세부적인 발표가 이어졌다.

주요 연자별 발표 주제, 이름, 소속 단체명은 다음과 같다.

- 스코틀랜드 생명과학 클러스터와 스코틀랜드 생명과학 지원체계 소개(케빈 베즐리 회장, 스코틀랜드 Biotech Industry Steering Group)
- 국내 신약개발 및 생명공학기술 현황 및 전략(박영우 박사, LG생명과학)
- 구조기반 신약 개발(말콤 워킨쇼 교수, 에딘버러 대학교)
- 한국의 배아줄기세포 연구: 현재와 미래(문신용 교수, 서울대 의대)
- 면역계 치료용 항체제조기술(앤디 포터 교수, 에버딘 대학교)
- 글로벌 신약개발 전략(존 홀 부사장, 퀸타일스)
- 스코틀랜드 대학의 신약개발(알렌 하비 교수, 파머링스)
- 에딘버러 대학의 의학 및 생명과학 연구개발(밥 스메일즈 박사, 에딘버러 대학교)
- 치료제 탐색을 위한 안티센스 개발(피터 에스티베이로 사장, 익스프레스온 바이오시스템)
- 생활습관성 질환의 진단 및 치료(콜린 와일드 박사, 하나 인터액션)
- 생명공학 벤처기업을 위한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짐 레이드 사장, 합토겐)
- 액상 캡슐화의 잇점 및 새로운 용도(폴 티틀리 박사, 인캡)

제약협회와 보건산업진흥원은 이번 심포지엄을 통해 생명공학, 신약개발기술 선진국인 스코틀랜드와 국내 산업, 기업, 대학과의 기술이전 및 국제협력 연구 등을 활성화함으로써 생명공학 및 신약개발관련 기술 경쟁력을 국제적 수준으로 끌어올릴 수 있는 계기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한편 이번에 한국을 방문하는 스코틀랜드 바이오 연구 기술진들은 심포지엄 외에도 3월 29일, 31일, 4월 1일에 걸쳐 국내 제약 및 바이오 기업들과 비즈니스 상담회를 가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