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구조유전체학 이용한 신약발굴로 독성·임상기간 단축해야 = 제약협, 조중명 박사 초청 생명과학과 제약산업 발전 강연회
신약연구개발의 여러 단계 중에서 신약 특허권이 얻어지는 신약선도물질 발굴과정이 가장 높은 경제적 부가가치를 창출한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또 수 많은 질병관련 단백질들이 발굴되고 단백질 구조연구에 대한 요구가 급증할 것이며 유전체 단백질의 구조를 빠른속도로 규명하고 이를 응용하는 구조유전체학을 이용하여 신약을 발굴하게 되면 독성시험과 임상시험의 기간을 대폭 단축시킬 것으로 지적됐다.
제약협회가 지난 27일 팔레스호텔에서 개최한 '생명과학 현황과 제약산업 발전방향' 초청강연회에서 조중명 생체기능조절물질사업(과기부가 추진하는 21세기 프론티어 사업)단장은 이같이 밝히고 3,000∼4,000개에 이르는 질환표적단백질이 발굴되면 신약 발굴 연구도 급속도록 확대 전개될 것이라며 이 분야에서는 우리나라도 선진국과 똑같은 기회를 같고 있다고 강조했다.
조중명 박사는 이러한 생명과학산업의 세계적 움직임과 관련 우리는 인간질병치료에 중요한 표적 단백질에 집중함으로써 일부라도 의약산업관련 지적재산권을 확보하는 것이 중요하며 생명과학에 대한 집중연구만이 선진국으로 도약하는 유일한 길임을 인식하고 정부, 학계, 산업계가 협력하여 기업마인드로 무장해야 한다고 역설했다. 끝.
뉴스룸